Gwangju Football Association

광주광역시 축구협회는 늘 항상 여러분과 함께 합니다.

자유게시판

밍키넷: 해외 성인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무료야동사이트

페이지 정보

  • 나란웅혁
  • 25-10-06 14:47
  • 2회

본문


1. 개요



밍키넷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인 사이트입니다. 주요 컨텐츠로는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스포츠토토, 토렌트 등이 있으며, 커뮤니티 활동은 제한적입니다. 사이트는 HTTPS 주소로 운영되며, 해외 서버를 통해 제공됩니다.



2. 접속



밍키넷은 HTTPS 주소를 사용하여 대한민국 내에서 한때 차단되지 않고 접속이 가능했으나, 2018년 이후 정부의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정책에 따라 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PC나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을 위해 우회 경로를 사용해야 하며, 해외 서버로 운영되고 있어 국내 규제에 대해 자유롭습니다



3.합법인가 불법인가


해외에서는 명백히 합법인 사이트로, 성인 컨텐츠가 허용되는 국가에서는 법적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HTTPS 차단 이후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됩니다. 대한민국은 포르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밍키넷 역시 준 불법 사이트로 취급됩니다.



키워드: 밍키넷, 성인 사이트,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VPN 우회, HTTPS 차단, 불법 사이트, 해외 서버, 대한민국 법, 포르노, 웹툰, 스포츠토토, 밍키넷 막힘, 53



국제갤러리 부산 전시장에서 만난 안규철 작가. 국제갤러리 제공





안규철 개인전 ‘열두 개의 질문’ 전시 설치 전경. 김은영 기자 key66@


기울어진 수평선, 그림이 된 글씨, 넘어지는 의자…. 익숙한 사물을 비틀어 생각할 거리를 남긴다. 4년 전 <사물의 뒷모습> 책 출간과 함께 연 전시 이후 오랜만에 부산을 찾은 안규철(70) 작가를 만났다. 그는 미술과 글쓰기를 병행하는 작가로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 왔다. 안 작가는 현재 부산 수영구 F1963 내 국제갤러리 부산점에서 ‘열두 개의 질문’ 전시를 열고 있다.
AJS 주식
그가 이번 전시에서 띄운 화두는 질문이다. “미술이, 질문과 사색의 수단일 수 있다는 생각을 미술계에 띄우고 싶었습니다. 생각하는 미술로, 사유하는 미술로 확장하고 싶은 마음입니다. 작가는 질문하는 사람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무엇이 그로 하여금 그토록 질문하게 했을까. “이를테면 저한테 가장 절실한 질문은, 내가 글 쓰는 사람이ELW강의
냐, 그림 그리는 사람이냐라는 거죠. 그러면 저는 이렇게 반문한단 말이에요. 글과 그림의 경계가 어디 있는데? 누가 그걸 나누는데? 라고요. 그게 이번 전시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기도 해요.”
지난해 안 작가는 두 차례의 개인전과 두 차례의 미술관 기획전을 통해 50여 점이 넘는 신작을 발표하며 한 해를 숨 가쁘게 보냈다. 그중 스페이스 오션파라다이스시즌7
이수에서 마련한 ‘안규철의 질문들-지평선이 없는 풍경’과 아마도예술공간에서 개최한 ‘12명의 안규철’에서 선보인 주요 작품 27점을 중심으로 작가의 최근 작업 세계를 소개하는 것이 이번 국제갤러리 개인전 ‘열두 개의 질문’이다. ‘n명의 안규철’이 남긴 사유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그 기발함에 웃음이 터지기도 한다.

희귀금속관련주
“사실 미술이 질문만은 아니죠. 미술은 훨씬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어요. 미술로 표현할 수 있고, 미술로 수행도 할 수 있고, 어떤 감각적인 매혹을 경험하게 할 수도 있고…. 이런 식의 질문을 목표로 하는 미술이 별로 많지 않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됐고, 우리 미술의 다양성을 위해 질문을 전면에 내세운 겁니다.”


슈퍼개미되기


안규철 작 ‘무위자연’과 '수신제가'. 김은영 기자 key66@


전시장 도입부에 걸려 있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보자. 글자 그대로, 자연 그대로 순응하는 삶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글자는 화려한 황금색으로 쓰여 있고, ‘순응’과 어울리지 않게 뒤집혀 있다. 기표(시니피앙, 표현된 기호)가 기의(시니피에, 의미하는 내용)를 배반한다. 그 옆 ‘수신제가’(修身齊家)는 더 엉뚱하다. 서예가가 네 글자를 써야 하는데, ‘수신제’까지 쓰고 캔버스가 모자라자 새로 쓰는 게 아니라, 임시변통으로 그 옆에 칸을 늘려서 ‘가’라는 글자를 덧대서 걸었다. ‘수신제가’라는 말에 어울리지 않는 글씨와 구성이다.

‘점 연습-그대를 아는가-파울 첼란’은 땡땡이 추상도면 같지만, 점 하나하나를 읽으면 시가 된다. ‘선 연습-왼손’의 경우는, 멀리서 보면 단색화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망설임, 실수, 주저함이 그대로 남아 있다. 추상과 현실을 연결하는 작업, 모노크롬 버전이다. 색면회화 '11월의 날씨'와 '7월의 날씨'는 회색의 다양함을 생각하게 한다. 아무리 똑같은 색깔을 구현하려 해도 똑같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안규철 작 ‘외국어로 된 열두 개의 잠언’. 김은영 기자 key66@



‘외국어로 된 열두 개의 잠언’은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이다. 이 작품은 안 작가가 평소 좋아하는 책들에서 가져온 인용문 12개가 영어, 독일어, 불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등 5개 국어로 표현된다. 이번 작품의 주제이기도 한 ‘글은 어디서 시작하는가? 그림은 어디서 시작하는가?’(롤랑 바르트)가 있는가 하면, 영어로 되어 있는 ‘아름다움은 장미에 있지 않다, 아름다움은 네 마음에 있다’(아그네스 마틴)도 있다. 재미있는 것은, 관람자가 아는 언어로 된 글은 그 내용이 읽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글씨 그림’에 불과하다. 글과 그림의 경계가 그림 안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관람자에게 달린 셈이다. 즉, 관람객이 누구냐에 따라 경계가 달라진다. 작가는 “12개의 질문은 수사적인 표현이고요, 사실은 끝이 없는 질문”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안규철 작 '세 개의 수평선'. 김은영 기자 key66@





안규철 작 ‘예술로 가는 길’. 김은영 기자 key66@



조소를 전공했지만, 유화도 처음 선보인다. 기울어진 지평선을 담은 ‘세 개의 수평선’이다. 수평선을 수평선이 아니게 그렸다. 말 그대로 기울어진 수평선이다. 심지어 전시장에 마련된 발판 위에 올라서야 수평이 맞추어진다. ‘예술로 가는 길’은 교통 표지판을 모아서 유화 캔버스로 옮겼다. 일방통행, 유턴, 위험…. “예술 작품의 의미는 우리가 거기다 부여하는 것이지 한 덩어리로 고착된 건 아니다”고 말한다.




안규철 작 ‘두 개의 돌’. 김은영 기자 key66@





안규철 작 ‘두 개의 돌’. 김은영 기자 key66@



또 다른 설치 ‘두 개의 돌’은 진열장에 든 돌과 바닥에 놓여 있는 돌이 각각 신세 한탄을 늘어놓는 듯하다. 바닥의 돌은 “나를 미술관 안에 들여놓기만 해 봐라. 내가 얼마나 훌륭한 예술 작품이 되는지 보여 주마”라고 이야기한다면, 미술관 진열장 안의 돌은 “이 안에 들어 있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이지 아느냐”고 반문한다. 작가는 “어떤 것은 미술이 되고, 어떤 것은 미술이 안 되는 판단의 기준이 무엇이냐”는 것을 질문으로 삼았고, ‘미술관 전시를 욕망하는’, 돌멩이 상태로 은유 된 예술가 상황을 빗대기도 한다.




안규철 작 ‘점 습작’. 김은영 기자 key66@





안규철 작 '타인만이 우리를 구원한다'. 김은영 기자 key66@



‘점 습작’ 역시 수많은 땡땡이 점으로 이뤄졌다. 잘못하면 단색화로 읽히기 쉬운데, 여기엔 다른 질문이 깔려 있다. 1989년부터 2024년 사이에 일어난 전쟁 발발 일자가 적혀 있다. 멀리서 보면 추상화인데, 그 안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역사 이야기가 담겨 있는 것이다. 1300개의 구슬을 꿰어서 만든 글씨 주렴 ‘Only Others Save Us’(타인만이 우리를 구원한다)는 ‘내가 하는 예술이 곧 다른 사람에게는 구원이구나’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안규철 작 안규철 작 '두 개의 의자'. 김은영 기자 key66@





안규철 작가와 ‘두 개의 의자’. 김은영 기자 key66@



이 밖에도 계속해서 쓰러지는 의자와 이를 다시 세우려는 작가가 나오는 영상 작품 ‘쓰러지는 의자’, 두 개의 의자가 큰 원반 위에서 함께 돌아가지만 각각의 의자도 저마다의 원반 위에서 회전하고 있어 어떤 때는 마주하고 어떤 때는 정반대를 바라보게 하는 설치 작품 ‘두 개의 의자’도 관람객에게 고민할 거리를 던진다.




국제갤러리 부산 전시장에서 만난 안규철 작가. 국제갤러리 제공


작가는 서울대 조소과를 나와 미술지에서 기자로 일하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학교에 유학했다. 익숙한 일상 사물을 뒤틀어 부조리한 현실의 개념을 작품으로 선보여 왔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로 일하다 2020년 은퇴하고 전업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미술은 머리와 눈, 손이 균형을 맞춰야 하는데 우리 미술은 머리를 빼고 눈과 손으로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는 개념미술가 안규철보다 개념적인 미술을 하는 안규철로 불렸으면 좋겠습니다.” 전시는 오는 19일 막을 내린다.